돈 버는데 욕망만 있고 정작 공부하지 않은 티가 납니다. 인덱스펀드라는 용어는 수시로 들었는데 막상 설명하려고 하니 아리송하고 잘 모르겠습니다. 인덱스펀드가 장기투자에 좋다고 하는데 왜 그럴까요?

인덱스펀드(Index Fund)란?
인덱스펀드는 종합주가지수나 채권지수를 따라가도록 운용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즉 인덱스의 수익률을 따라가도록 만든 펀드입니다. 인덱스펀드는 시장 평균 수익률을 따라가는 펀드입니다. 수익률 높은 펀드를 고르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펀드 매니저가 어디에 어떻게 투자할지 어떻게 투자할지 판단하거나 결정할 필요도 없습니다.
일반적인 펀드에 비해 절반 이상 또는 70% 이상 운용비가 낮습니다. 그리고 인덱스 펀드의 성적이 다른 펀드에 비해 수익률이 대체적으로 괜찮다고 합니다.
인덱스펀드의 탄생?
인덱스펀드는 1971년 미국의 웰스파고 은행이 최초로 내놓은 펀드입니다. 처음 펀드를 낼 때 시장평균수익률을 이기지 못한다면 지수 수익률에 만족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만들어진 펀드입니다.
이후 내셔널 은행이 S&P500지수를 기초로 인덱스 펀드를 출시하면서 일반인들에게도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처럼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계기는 1976년 존 보글이라는 사람이 뱅가드 S&P 500 인덱스 펀드를 설립해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펀드로 성장시켰기 때문입니다.
인덱스펀드와 주식형 펀드 차이
펀드는 패시브 펀드(Passive Funed)와 액티브펀드(Active Fund)로 나뉩니다. 나누는 기준은 목표 수익률을 어디에 두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패시브 펀드는 지수를 추종하는 다소 소극적인 펀드입니다. 지수와 펀드 수익률 간 편차를 조정해주는 것 외에는 별다른 노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펀드 운영비용도 저렴합니다. 인덱스펀드가 패시브펀드의 대표적인 상품입니다.
액티브펀드는 펀드 매니저의 판단에 따라 운용되는 적극적인 편드입니다. 시장 평균 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률을 목표로 운용전략을 세웁니다. 펀드 매니저는 높은 수익을 내기 위해 잦은 매매를 하고 이로 인해 매매수수료가 증가하여 펀드 운용비용이 발생됩니다.
윤재수 저자의 ETF 투자 무작정 따라 하기에서 패시브 펀드와 액티브펀드를 비교한 표를 끌어왔습니다.
구분 | 패시브펀드(인덱스펀드) | 액티브펀드(주식형펀드) |
목표수익률 | 벤치마크하는 지수의 수익률 | 지수 대비 초과수익률 |
운용방식 | 소극적 자산운용 추적오차 최소화 장기투자 |
적극적 자산운용 종목 선택 마켓 타이밍에 따른 잦은 매매 |
운용전략 | 포트폴리오 구성 차익거래 |
자산 배분(주식 vs 현금) 종목 선정 |
수익과 비용 | 금융기관 : 저수익 투자자 : 저비용(1%이내) |
금융기관 : 고수익 투자자 : 고비용(2% 이상) |
특징 | 펀드별 수익률 편차가 작다 펀드 운용이 투명하다 |
펀드별 수익률 편차가 크다 펀드 운용이 복잡하고 어렵다 |
위험요인 | 추적오차만 조정하므로 위험이 낮다 | 공격적 운용으로 위험이 높다 |
인덱스펀드가 장기투자에 적합한 이유
장기 투자를 할 때 패시브 펀드인 인덱스 펀드가 액티브펀드인 주식형 펀드보다 수익률이 높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장기간 시장을 이기는 액티브 펀드가 없기 때문입니다. 일시적으로 시장을 이기는 것은 가능하지만 장기적으로 시장 평균에 수렴하거나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인덱스펀드는 비용이 저렴합니다. 인덱스펀드는 연 0.35~1.5%이며 일반 펀드는 1.5~3% 정도입니다. 인덱스 펀드를 추종하는 ETF는 더 저렴해서 0.15~0.5%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일반 펀드는 펀드매니저 연봉, 매매 수수료, 광고비, 위험 보험료, 사업비 등 각종 수수료가 빠져나가서 지출 비용이 발생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이 모야? (0) | 2022.12.02 |
---|---|
주가와 금리의 관계 공식 (0) | 2022.11.30 |
주식용어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 (0) | 2022.11.30 |
주식 리딩방 사기 수법 정리 (0) | 2022.11.29 |
개인연금저축펀드 추천 내용 정리 (0) | 2022.11.29 |